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roxmark 3 세팅 및 카드 키 복사하기 2

by 근군s 2024. 3. 30.

목차

    반응형

    RFID 카드 종류는 무척 다양하며, 복제방지락 등등 다양한 종류라서 항상 복사가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어록은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의 목적은 두껍고 부피가 큰 카드키를 얇은 스티커방식카드로 바뀌어 휴대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정보의 목적입니다.

     

    앞전 포스팅에서 다룬 RRG 를 PC에 세팅 후, 본격적으로 RFID 카드키를 복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Promark 3 세팅 및 카드 키 복사하기 1

    Promark3 를 이용한 RFID 방식의 카드키를 복사하기 위한 방법을 기록합니다. RFID 카드는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어락 카드, 현관문카드, 사원증 등등.. PC에 세팅하기 프로마크3 를

    e9e9-9999.tistory.com

     

    기존 카드 키 정보 복사하기

    1. pm3.bat 파일을 실행합니다.

    PM3 실행후 명령어 대기 상태

     

     

    2. proxmark3에 카드키를 놓습니다.

     

    도어락 카드키 복사준비

     

     

    3. hf search 명령어로 13.54 MHz 카드 검색합니다. 검색 결과에 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ID, ATOA, SAK  및 카드 종류(타입)를 확인합니다.

    hf search

    RFID 카드 종류 및 정보 확인

     


    4. 아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카드 정보확인합니다.

    hf mf chk
    hf mf fchk

     

    빨간색 부분은 암호화된 부분으로 읽지 못하는 블럭입니다.

     

     

    5. 확인된 정보를 파일화(덤프) 저장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면 암호화된 부분까지 읽어 덤프파일로 저장합니다.

    저장된 파일은 client 폴더에 hf-mf-[UID]-dump.bin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hf mf autopwn

     

    카드키 정보를 저장

     

    새로운 카드키 만들기

    6. proxmark3에 복사될 새로운 RFID 카드를 올려놓습니다.

    새로운 도어락용 카드키

     


    7. UID 값을 수정합니다. (기존 카드의 정보)

    hf mf csetuid -u [UID값]

    기존 UID 정보를 새로운 RFID 카드에 입력



    8. 카드정보(덤프)를 새로운 카드에 복사합니다.

    hf mf restore --1k

    기존 카드 키 정보를 새로운 카드 키에 복사

     


    9.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최대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명령어 사용을 줄였습니다.

    실제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합니다.

     

     

    10. 안전을 위해 client 폴더에 있는 hf-mf- 로 시작되는 모든 파일을 삭제합니다.

    안전을 위해 꼭 삭제할 파일

     

     

     

    기타 명령어들..

    Dump Keys (check for default keys):
    hf mf chk
    hf mf fchk


    자동으로 덤프파일 생성
    hf mf autopwn


    Dump Card Data with Key File:
    hf mf dump

    Emulate Card From Dump File:
    hf mf eload --1k -f [DUMP_FILE]
    hf mf sim --1k -u [UID]


    도움사이트
    https://mokpo.tistory.com/18
    https://node-security.com/posts/proxmark3-card-reading-and-cloning/#mifare-classic

    반응형